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지긋지긋한 허리 통증, '디스크'와 '측만증'의 결정적 차이 (자가진단 포함)

by 밸런스 연구소 2025. 6. 17.

허리통증으로 고통스러워하는 모습과 플랭크 운동으로 건강한 모습

 

지긋지긋한 허리 통증, 혹시 '이것' 때문? 단순한 근육통으로 가볍게 넘겼다간, 당신의 척추가 보내는 위험한 경고를 놓칠 수 있습니다. 허리 디스크와 척추측만증의 차이부터, 오늘 당장 시작할 수 있는 예방 운동까지 모두 알려드립니다.

 

"아이고, 허리야..." 이 말을 입에 달고 사는 분들, 정말 많으시죠? 저 역시 장시간 컴퓨터 앞에 앉아있다 보면, 어느새 허리를 부여잡고 있는 제 자신을 발견하곤 합니다. 많은 분들이 '좀 쉬면 괜찮아지겠지', '파스 하나 붙이면 되겠지' 하고 대수롭지 않게 넘기지만, 허리 통증은 우리 몸이 보내는 아주 중요한 '위험 신호'일 수 있습니다. 특히 그 통증이 단순한 근육통이 아니라, '허리 디스크'나 '척추측만증'의 전조 증상이라면 문제는 더 심각해집니다. 오늘은 대한민국 성인 대부분이 겪는 이 지긋지긋한 허리 통증의 진짜 원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우리의 소중한 척추를 지킬 수 있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디스크 vs 척추측만증, 무엇이 다른가요? 🤔

허리가 아프면 보통 "나 디스크인가 봐" 라고들 말하지만, '허리 디스크'와 '척추측만증'은 원인과 증상이 다른, 전혀 다른 질환입니다. 두 질환의 차이점을 아는 것이 정확한 진단과 치료의 첫걸음입니다.

구분 허리 디스크 (추간판 탈출증) 척추측만증
원인 잘못된 자세, 노화 등으로 척추뼈 사이의 디스크가 튀어나와 신경을 누름 척추가 C자형이나 S자형으로 휘는 변형 (대부분 원인 불명)
주요 증상 허리 통증과 함께 다리가 저리거나 당기는 방사통 통증이 없는 경우가 많고, 어깨 높이 비대칭, 골반 불균형 등 외형적 변화
특징 허리를 숙일 때 통증이 심해짐 성장이 활발한 청소년기에 악화되는 경향이 있음

 

당신의 척추는 안녕하십니까? 자가진단 리스트 ⚠️

아래 항목 중 3개 이상 해당된다면, 당신의 척추 건강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전문가의 진단이 필요합니다.

  • 다리를 꼬지 않으면 어색하고 불편하다.
  • 똑바로 서 있을 때, 양쪽 어깨의 높이가 다르다.
  • 허리를 숙였을 때 한쪽 등이 다른 쪽보다 더 튀어나와 보인다.
  • 아침에 일어났을 때 허리가 뻣뻣하고 통증이 있다.
  • 허리부터 엉덩이, 다리까지 찌릿하거나 저린 느낌이 있다.
  • 신발의 한쪽 굽만 유독 빨리 닳는다.

 

척추 건강을 지키는 3가지 예방 운동 🧘‍♀️

허리 통증과 척추 변형은 잘못된 생활 습관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통증이 심하다면 당연히 병원 치료가 우선이지만, 통증이 없거나 미미한 단계라면 예방 운동만으로도 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1. 맥켄지 신전 운동 (허리 디스크 예방)

엎드린 상태에서 양 팔꿈치를 어깨너비로 바닥에 대고, 천천히 상체를 들어 올려 15~30초간 유지합니다. 튀어나온 디스크를 제자리로 돌려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2. 플랭크 (코어 근육 강화)

척추를 지탱하는 가장 중요한 '코어 근육'을 단련하는 최고의 운동입니다. 엎드린 상태에서 팔꿈치와 발끝으로 몸을 지탱하며, 머리부터 발끝까지 일직선을 유지합니다. 30초부터 시작하여 점차 시간을 늘려보세요.

3. 고양이-낙타 자세 (척추 유연성 증가)

네발 기기 자세에서 숨을 내쉬며 등을 고양이처럼 둥글게 말고, 숨을 들이마시며 허리를 낙타 등처럼 오목하게 만듭니다. 척추의 유연성을 높여주고 긴장을 풀어주는 데 효과적입니다.

 

💡

허리 통증 예방 핵심 요약

✅ 원인 파악: 허리 통증과 다리 저림이 함께 오면 '디스크'를, 통증 없이 자세 비대칭이 보이면 '측만증'을 의심!
✅ 자세 교정: 다리 꼬기, 짝다리 짚기 등 나쁜 자세부터 바로잡는 것이 가장 중요.
✅ 꾸준한 운동: 맥켄지, 플랭크 등 코어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꾸준히 실천!

자주 묻는 질문 ❓

Q: 허리가 아플 때, 무조건 쉬는 게 좋은가요?
A: 급성 통증이 심할 때는 안정이 필요하지만, 만성적인 통증의 경우 무조건 쉬는 것이 능사는 아닙니다. 오히려 코어 근육을 강화하는 적절한 운동을 통해 척추의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장기적으로 통증 완화에 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Q: 좋은 자세가 무엇인지 알면서도 자꾸 자세가 흐트러져요.
A: 우리 몸은 이미 익숙해진 나쁜 자세를 '편안하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처음에는 의식적으로 30분에 한 번씩 자세를 바로잡는 알람을 맞추거나, 허리 쿠션을 사용하는 등 환경적인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